태양열 축열조 수리

회사 건물은 한번 증축을 하긴 했지만 지은지 20년이 된 건물입니다.
건물을 짓고 나서 건물에 태양열 판넬과 태양광 판넬을 설치했습니다.
그 덕에 건물의 전기세는 다른 규모의 건물에 비해서 엄청 절감을 하고 있습니다.
그런데 태양열 판넬로 온수를 만들었던 축열조에 이상이 생겼는지 열효율이 엄청 떨어지는 것을 올해 초에 발견을 했었습니다.

제조업체에 연락을 해보니 대전이라서 올 수 없다고 하더라구요.
음... 하는 수 없이 배관전문가와 전기전문가를 따로 따로 불러서 작업을 했습니다.

KakaoTalk_20250814_194444630_05.jpg

각 전문가들이 부품을 수리하고 교체를 해주었지만, 전체적으로 운영 하는데 있어서 뭔가 이상이 있는지 축열기에 온도가 올라가지 않았습니다. ㅠ

KakaoTalk_20250814_194444630_08.jpg

배관을 따라가 보고 원리를 하나하나 연구했습니다.
태양열판넬에 문제가 있어 보이지도 않았고, 각 부분별 모터도 이상없고...
태양열 온수 시스템이 그리 복잡한 원리는 아닌데 왜 안되는지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.

KakaoTalk_20250814_194444630_04.jpg

하는 수 없이 몇달이 지났지만 다시 한번 제조사에 문의를 했습니다.
처음에 AS기사님이 물어보는 것을 이해하지 못했지만, 계속해서 살펴보고 이것저것 만지다 보니 그래도 이번엔 기사님이 무엇을 얘기하고 있는지 알아듣겠더라구요.

KakaoTalk_20250814_194444630_01.jpg

원인을 발견했습니다. 배관의 필터에 이물질이 껴서 태양열판넬에서 데워진 물이 열교환기로 들어가는데 있어서 순환이 잘 안되는 것이었습니다.

KakaoTalk_20250814_194444630.jpg

어제 오후에 필터청소를 하고, 어제부터 축열조의 전기히터봉을 끄고 오로지 태양열에 의존해서 물을 데워봤습니다.
평소랑 다르게 4톤이 넘는 축열조의 물이 단 세시간 만에 60도가 넘어 버렸습니다.
결과는 대성공!

제주라는 곳 특성상 특정 제품들 AS를 부를 때 아주 단순한 고장도 잘 모르면 기사의 비행기표까지 발권 받아줘야 하는 상황인데 또 한가지 배웠네요~ ㅎ



0
0
0.000
2 comments
avatar

오 고생하셨네요. 그나저나 제주는 그런 AS의 제한사항이 있다는 점이 새삼 새롭게 와닿네요.

0
0
0.000
avatar

제주가 생각보다 이런 점이 열악하더라구요.
삼성이나 LG 같은 대기업이 아닌 중소기업 제품들은 AS 받기가 어려울 때가 많더라구요.

0
0
0.000